습/play data

플레이데이터 백엔드 부트캠프 6주차 회고

이준늬 2023. 7. 30. 22:00
전반적인 느낀 점

 이번 주는 다행스럽게도 강사님께서 servlet 관련해서 좀 더 상세하게 가르쳐 주시며, 복습 위주의 강의를 해주셨다
로그인을 예시로 servlet의 다양한 기능을 살펴봤는데, 이 전 프로젝트에서 구현한 방식과 비교해 볼 수 있어 더 깊게 와닿았다.

 예를 들어 똑같이 session을 활용해 로그인 여부를 판단하는 코드도 다양한 방식이 있다. 내가 맡은 부분이 로그인은 아니었으나, session에서 값을 꺼내 검증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때, if문의 and(&&) 조건 앞 부분에 null 체크 후, 뒷부분에 세세한 조건을 넣으면 가독성 좋고 깔끔한 코드가 된다.

 myBatis나 springMVC 진도를 나가지 않아 예습할 수 있는 시간이 생겼고, springMVC의 기반이 되는 servlet을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단순히 복습만 했다면 중간중간 흐트러질 수도 있었지만 깊고 상세히 프로젝트에서 필요했던 새로운 지식이 섞여있어, 흥미롭게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Keep

 강의가 기본적으로  복습이었기 때문에, 따로 많은 시간을 내서 복습할 필요는 없었다. 
다음 주부터 강의 속도가 빠를 것을 예고하셨기 때문에, 예습이 필수라는 생각이 들었고, 남는 시간에 MyBatis와 SpringMVC 관련 강의와 유튜브를 찾아봤다. 본 강의에서 Servlet을 학습하고 동시에 SpringMVC를 예습하니 Servlet의 어떤 기능을 토대로 SpringMVC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지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개발자는 귀찮은 것과, 중복을 싫어해야 한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프레임워크도 결국 중복을 제거하고, 개발자가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기반 기술을 탄탄히 잡으면 또 다른 새로운 프레임 워크를 공부하는 것에도 크게 어려울 것 없을 거라는 자신감이 생겼다. 지금처럼 학원에서 제공해 주는 커리큘럼대로 차근차근 탄탄하게 공부하겠다.

 

Problem

 시간이 부족해서 운동을 못하고 있는데, 근육량이 감소해 피로를 더 쉽고 빠르게 느끼고 있다^^..
사실 시간이 부족하다는 건 핑계겠지..
적어도 일주일에 두 번 30분 이상 근력 운동을 하고, 일주일 중 60분 정도는 뜀박질하세요 준희야.. 여기서 체력이 더 떨어지면 수업 시간에 집중을 못 할 거고, 조금씩 진도를 못 따라가다가 공부할 내용은 점점 많아지고, 큰일 날 거요..
큰일 나기 싫으면 운동 좀 하세요.

 

Try

  이번 mini project 때는 기필코 github를 완벽하게 이용해서 협업하겠다. 취업하려면 잔디를 심어야 한다는데, 아직 git 사용이 서툴러 notion에 학습한 내용을 정리만 하고 있다. 이번 project를 시작으로 하루에 꼬박꼬박  1~2개는 commit 하는 습관을 들이고 싶다.

 또, mini Project가 끝날 때마다 서로 코드 리뷰를 할 사람을 모아보고 싶다. 코딩 테스트, 면접 관련 cs 학습도 차차 필요하겠지만, 당장은 프로그래밍 자체에 집중하고 싶다.

 

다음 주 계획

 0. 얄코 git 강의 다 듣기
 1. mini project 후 코드 리뷰할 사람 구하기

 2. SpringMVC 2 강의 다 듣기
 3. 월욜 목욜 근력운동 30분, 둘 중 하루 뜀박질 30분 주말 뜀박질 30분